• worldwide leader in global logistics

News Letter 목록

News Letter

BNX Market News【Week 32】

Page Info

Writer BNX Date25-08-11 17:24 View155Times Reply0

Content

c794d0f0126e7ded8d9c29e18158a752_1724999268_9925.png



‘북미·유럽 약세’ 한국·중국발 컨운임지수 수주째 내림세

글로벌 컨테이너 운임지수가 중동과 호주, 남아프리카를 제외한 노선에서 운임이 떨어지면서 2주 연속 1500선에 머물렀다.

상하이해운거래소에 따르면 8월1일 기준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1550.74를 기록, 전주 1592.59와 비교해 2.6% 떨어졌다.

해양진흥공사는 “북미와 유럽항로에서 약세를 보이며 SCFI는 8주 연속 하락했다. 8월 선사들의 운임 회복은 성공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구간별 운임은 40피트 컨테이너(FEU)당 상하이발 북미 서안행이 2021달러, 동안행이 3126달러를 기록, 전주 2067달러 3378달러와 비교해 2.2% 7.5% 각각 떨어졌다. 서안과 동안 모두 운임이 3주 연속 하락했다.

또 20피트 컨테이너(TEU) 기준 상하이발 북유럽행 운임은 전주 2090달러에서 1.9% 내린 2051달러, 지중해행은 2418달러에서 3.5% 하락한 2333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북유럽은 한 주 만에 하락 전환했지만 6주 연속 2000달러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 밖에 동아프리카(몸바사)는 2583달러에서 소폭 내린 2581달러, 서아프리카(라고스)는 4273달러에서 1% 떨어진 4232달러, 동남아시아(싱가포르)는 429달러에서 4% 내린 412달러, 남미 동안(산투스)은 5188달러에서 10.1% 떨어진 4662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반면, 상하이발 중동행 운임은 전주 1152달러에서 소폭 오른 1153달러, 호주(멜버른)는 1071달러에서 4.7% 상승한 1121달러, 남아프리카(더반)는 2961달러에서 2.1% 인상된 3022달러, 남미 서안(만사니요)는 2081달러에서 4.5% 오른 2175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한국발 해상운임(KCCI)도 7주 연속 하락곡선을 그렸다.

한국해양진흥공사에 따르면 8월4일 현재 KCCI는 2131로, 전주 2199와 비교해 3.1% 떨어졌다.

FEU 기준 한국발 북미 서안행 운임은 전주 2126달러에서 1.7% 하락한 2090달러, 북미 동안행은 3652달러에서 6.6% 내린 3412달러, 유럽행은 3414달러에서 1.9% 떨어진 3349달러, 지중해행은 3553달러에서 4.5% 떨어진 3392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또 한국발 중동행과 남미 동안행, 동남아시아행은 전주 2612달러 5888달러 1035달러에서 5% 10.9% 4% 각각 하락한 2482달러 5245달러 994달러였다.

반면, 호주행은 전주 1919달러에서 9.9% 오른 2108달러, 남미 서안행은 2645달러에서 4.8% 상승한 2772달러, 남아프리카행은 3695달러에서 3.4% 인상된 3822달러로 집계됐다. 

<출처: 코리아쉬핑가제트 08.07.2025>



"올해 美 수입 5.6% 감소 전망"

미국의 상호 관세가 글로벌 무역을 압박하는 가운데 전미소매연맹(National Retail Federation, NRF)이 올해 미국 수입물량이 작년보다 5.6%, 140만 TEU 감소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

NRF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국 주요 항만의 소매 수입물량은 총 1,253만 TEU로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했다.

NRF는 미 수입물량이 7월에 220만 TEU로 급증했으며, 소매업체들이 재고물량 확보를 서두르면서 8월에도 230만 TEU라는 높은 수준을 보일 것으로 추산했다.

문제는 9월 이후다.

NRF는 올 상반기 수입이 늘었지만 9월 이후 수입물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올해 총 수입물량은 2,410만 TEU로 전년(2,550만 TEU)에 비해 줄어드는 것은 물론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갈 것으로 내다봤다.

NRF는 9월부터 4개월 간 미국의 수입물량이 월별로 약 19~21% 감소하면서 월별로 170만~180만 TEU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태평양 횡단 항로의 선복이 크게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올 하반기 이 노선의 컨테이너 운임은 급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글로벌 컨테이너 운임은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9일 전주 대비 61.06포인트 떨어진 1489.68를 기록했다. 지난 6월 6일 이후 9주 연속 하락세다.

노선 별로 보면 상하이~미국 노선의 하락이 두드러진다. 이날 미 동안은 FEU당 2792달러로 전주 대비 334달러, 미 서안은 1823달러로 전주 대비 198달러 각각 떨어졌다.

<출처: 해양통신 08.11.2025>



트럼프 관세 올리자 관세 사기도 200% 급증...미 관세국경보호청, 올 상반기 단속 및 제재 1,400건이상 취해

글로벌 수출입 물류 플랫폼 트레드링스는 8일 "트럼프 관세 올리자, ‘관세 사기’도 200% 뛴다"제하의 리포트를 발표해 지대한 관심을 모았다. 트레드링스에 따르면 미국이 추가 관세를 연달아 부과하면서, 이를 우회하려는 시도와 그에 대한 단속이 동시에 커지고 있다. 관세·통관 분야의 오랜 실무가들은 최근 몇 년 중 관세에 가장 예민한 환경이 조성됐다고 평가하고 있고, 그만큼 불법적인 ‘관세 회피’가 증가할 것이라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무역 전문 컨설턴트인 Rennie Alston은 “관세 우회(Circumvention)가 향후 가장 큰 벌금 수입원이 될 것”이라며, 관세 인상에 따른 업계의 반작용 때문에 법무부(DoJ)의 관련 집행 활동이 200%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같은 맥락에서 기업법무 전문가들은 관세 회피가 허위 청구 방지법(False Claims Act, FCA)의 핵심 타깃으로 자리 잡았고, DoJ가 관세·통관 사기를 수사의 최상위 우선순위로 올려 전담 인원을 재배치했다고 분석했다. 실제 통계도 이런 흐름을 뒷받침합니다. CBP(미 관세국경보호청)는 2025년 상반기에만 단속 및 제재를 1,400건 이상 취했다. 최근 5년 중 최다 기록이다.

대표적인 관세 회피 방법들

사실 관세 회피는 새삼스러운 현상은 아닙니다. 다만 관세율이 급격히 높아지자, 과거에 ‘회색지대’로 여겨졌던 관행들이 본격적인 단속 표적이 되고 있다. 전형적인 유형은 다음과 같다.

트랜스십먼트(원산지 우회): 실제 제조는 중국에서 이뤄졌지만 제3국을 잠시 경유해 라벨을 바꾸는 방식으로 원산지를 바꾸려는 시도이다. 제조 공정이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으면 원산지도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 기본 원칙이다.

언더밸류(저가신고): 인보이스 가치를 실제보다 낮춰 신고하거나, 금형·로열티 등 가격 구성 요소를 누락해 관세를 줄이는 수법입니다. 관련 당국은 특히 관계사 간 거래(transfer pricing)에서 이런 리스크가 크다고 지적한다.

오분류(HS 코드 왜곡): 세율이 낮은 품목으로 억지 분류하거나, 반덤핑·상계관세(AD/CVD) 부과를 피하려고 품명을 왜곡하는 방식이다. 최근 합의·판결에서도 분류·원산지·가치 오신고가 동시에 문제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원산지 ‘세탁’ 및 경로 조작: 물류 루트를 바꿔 실제 원산지를 숨기거나, 선박·출고 데이터까지 조작해 진짜 출처를 흐리는 시도가 거론됩니다. 이는 단순 행정위반을 넘어 형사 리스크까지 거론되는 영역이다.

페이퍼 IOR(명의 대여)와 유령 수입자: 실체가 빈약한 제3자나 서류상의 수입자를 내세워 책임을 분산·회피하는 구조입니다. CBP는 최종 수익자까지 책임 추적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DDP 남용과 MDDP(Modified DDP) 스킴: “관세·통관은 공급자가 다 알아서 한다”는 DDP 조건을 미끼로, 실제론 과소신고·오분류·원산지 조작 등 불법을 끼워 넣는 사례가 문제로 떠올랐다. Alston은 MDDP를 세관 관점에서 “대놓고 사기(blatant scam)”로 간주할 수 있다고 경고했는데, 외국 공급자가 “우리가 수입자 명의까지 맡으니 걱정 말라”고 접근하는 전형적인 패턴이다.

앞으로 강화되는 관세 우회 단속

이런 관행들은 관세 변동과 무관하게 꾸준히 존재했지만, 앞으로 단속 강도와 범위가 달라진다는 점이 핵심이다. DoJ는 FCA를 통해 민사 3배 배상과 건별 벌금을 추구하고, 필요한 경우 형사 혐의(밀수, 공모, 사기)까지 아우르는 ‘원스톱’ 집행으로 전환하고 있다. 법무·집행 당국의 메시지는 명확하다.

첫째, ‘의도’가 없었다는 변명은 반복·패턴이 나타나면 통하지 않다.

둘째, FCA의 활용 폭이 넓어지면서 관세 회피가 민사 소송의 주요 쟁점으로 부상했다. 실제로 2025년 여름, 플라스틱 레진의 원산지·가치 허위신고 의혹과 알루미늄 부품의 AD/CVD 회피 의혹 사건이 각각 680만 달러, 490만 달러의 합의로 마무리됐는데, 자진 조사·협조가 감경에 반영되었다는 점이 함께 주목됐다.

셋째, CBP의 집행 건수 자체가 눈에 띄게 늘었고, 오분류·언더밸류·트랜스십먼트가 공통 타깃으로 반복 언급된다.

넷째, 최근 항소법원 판결은 FCA가 관세 회피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재확인하면서, 피고가 “규정 해석이 합리적이었다”고 주장해도 합당한 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면 면책이 어렵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관세가 높아지고, 변화가 빠를수록, 기업은 비용을 낮추고 싶어한다. 변호사 Kirti Reddy는 “관세가 가파르게 상승하면 기업과 개인은 법을 우회해 비용을 맞추려는 유혹이 커지고, 그만큼 FCA 사건이 늘 것”이라고 설명했다. DoJ는 통관 사기를 ‘고위험·고영향’ 영역으로 규정했고, 내부 조직 개편과 전담 인력 재배치를 통해 수사·기소 역량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불법적 우회 시도가 늘어나는 만큼, 그 시도를 잡아내려는 당국의 속도와 강도도 더 빨라질 것이라는 뜻이다.

한눈에 보는 요약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 이후, 회피가 늘고 단속은 더 강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DoJ는 관세·통관 사기를 최우선 집행 영역으로 삼고 FCA·형사법을 결합한 집행을 확대 중이다.

과거에 관행처럼 여겨졌던 트랜스십먼트, 언더밸류, 오분류, 페이퍼 IOR, DDP·MDDP 기반의 허위 신고 등이 직접적인 표적이 되고 있다.

<출처: 쉬핑뉴스넷 08.09.2025>



‘안개’는 걷혔지만… 트럼프 관세에 무역업계 피로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에 이어 품목별 관세까지 연이어 부과에 나서자 수출업계가 교역 조건 악화에 따른 심리적 부담으로 무력감과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외신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이후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대규모 관세 인상을 추진했다. 당초 나라마다 상호관세 부과를 공언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유예하는 대신 4월 5일부터 모든 나라를 대상으로 보편관세 10%를 부과했다. 

이에 앞서 3월 12일부터는 철강과 알루미늄(맥주캔과 빈 알루미늄 캔에는 4월 4일부터)에 대해 25%의 품목관세를, 4월 3일부터는 자동차에 대해, 5월 3일부터는 자동차부품에 대해 25%의 품목관세를 각각 부과했다. 그 사이 중국과 관세전쟁을 벌이다 희토류에 발목이 잡혀 휴전에 합의하기도 했다.

지난 4월 10일로 예고됐던 국가별 상호관세는 90일 유예됐다가 8월 7일부터 10~50%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한국은 15%의 상호관세를 적용받게 됐다. 이어 수주 내 반도체에 100%의 품목관세를 예고한 상태다.

국내 수출업체들은 충격의 연속이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대부분의 품목이 대미 수출에서 0%의 관세율을 적용받다가 4월 10일부터 모든 품목에 10%의 관세를 (바이어가) 물어야 했고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특정 품목들은 순차적으로 25%의 관세를 부과받았다. 

8월 7일부터는 15%의 상호관세가 적용된다. 다행히 자동차 관세는 15%로 낮아지게 됐다. 하지만 한국의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에 100%의 관세를 비롯해 의약품 등 특정 품목에 대한 관세도 예고돼 있는 상황이다.

수출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신이 없다”는 말로 혼란스러운 상황을 대변했다. 그는 “중요한 것은 내가 수출하는 품목이 얼마의 관세를 부담하게 되는지”라며 “0%가 10%로 됐다가 다시 15%가 된 것만으로도 큰 부담을 느낀다”고 토로했다. 

이어 “최근의 상호관세 협상 과정에서도 15%가 될지, 25%가 될지 굉장히 불안했다”며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방’한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15%의 관세율이 부담스럽지 않은 것은 아니어서 차기 계약에서 단가 문제가 걱정된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저쪽(미국)에서 모든 결정권을 가지고 있으니 트럼프 입만 바라봐야 하는 상황에서 무력감을 느꼈다”고 호소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 국가와 일부 남태평양 국가에서 OEM 방식으로 제품을 만들어 미국에 보내는데, 한국의 관세율보다 이 나라의 관세율이 더 중요하다”며 “대부분의 해외 생산국이 한국보다 높은 관세율을 적용받게 돼 전면적인 사업 재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이고 변덕스러운 발언과 정책 때문에 외신 기사에 촉각을 곤두세워야 했고 그 자체가 스트레스였다. 이제 어느 정도 윤곽이 나왔으니 경쟁국은 물론 해외생산기지 등의 관세율을 입력해 복잡한 계산을 해야 한다”고 토로했다.

<출처: 한국무역신문 08.08.2025>



'관세폭탄' 맞은 인도 기업들, 美 고객사 주문 취소 잇따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로부터 50%에 이르는 초고율 '관세 폭탄'을 얻어맞은 인도의 제조업체들에 미국 고객사들로부터 주문 취소나 생산거점 해외 이전 요청이 쏟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나렌드라 모디 총리 정부가 중국을 잇는 차세대 '세계의 공장'이 되겠다면서 국가적 과제로 추진해온 제조업 진흥 정책 '메이크 인 인디아'도 큰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에 대해 50% 관세 부과를 예고한 이후 미국 고객사와 거래하는 많은 인도 제조업체에는 주문 보류나 생산지를 인도 밖으로 옮기라는 요청이 밀려들고 있다.

갭·콜스 등 미국 브랜드에 의류를 공급하는 '펄 글로벌'의 팔랍 바네르지 전무이사는 "모든 고객이 이미 내게 전화를 걸어왔다"면서 "그들은 우리가 인도에서 다른 나라로 이전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미국 고객사들에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베트남, 과테말라에 있는 17개 공장으로 생산을 이전하겠다고 제안했다.

인도 최대 의류 제조업체 '레이먼드'의 재무책임자 아밋 아가왈은 미국 관세율이 10%인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에 있는 유일한 해외 공장에 희망을 걸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고객들을 위해 석 달 안에 생산 라인을 추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다른 의류업체 '리차코 엑스포트'는 올해 인도 내 20여개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을 미국 브랜드 제이크루 등을 통해 미국에 1억1천100만 달러(약 1천540억원)어치를 수출했지만, 관세 장벽에 부딪히자 네팔 카트만두에 공장을 세우는 방안을 부랴부랴 알아보고 있다.

해외 이전 여력이 있는 기업들과 달리 중소·영세 기업들을 포함해 인도 안에만 공장이 있는 다수 기업은 타격을 줄일 방법이 없어 전전긍긍하는 형편이다. 인도 남부 타밀나두주의 의류산업 중심지 티루푸르는 고객들의 잇따른 주문 보류 요청에 '공황 상태'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인도 의류수출진흥위원회(APC)의 수디르 세크리 위원장은 50% 관세가 부과되면 "업계가 이를 감당할 방법이 없다"면서 중소 의류기업들의 "종말을 알리는 사건"이 될 것이라고 스트레이츠타임스에 경고했다.

앞서 지난 6일(현지시간)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수입에 대응해 21일 후 인도산 제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국은 전날부터 인도에 25%의 국가별 관세(상호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3주 후부터 미국의 대(對)인도 관세율은 50%로 치솟게 된다.

이와 관련해 이날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인도에 대한 50% 관세가 다른 아시아·태평양 국가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며, 인도의 제조업 발전 목표를 심각하게 저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무디스는 트럼프 미 대통령 발표대로 인도 관세율이 두 배로 높아지면 인도가 이룬 세계 투자유치 성과 중 일부가 뒤집힐 수 있으며, 이는 인도의 성장·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대한 위험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도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 달 약 20억 달러(약 2조8천억원)어치를 팔아치운 데 이어 이달 들어서도 현재까지 9억 달러(약 1조3천억원)가량을 순매도했다. 그 결과 인도 대표 주가지수인 니프티50과 센섹스지수는 지난 달 2.9% 하락한 데 이어 이달에도 0.7% 내렸다.

<출처: 연합뉴스 08.08.20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