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orldwide leader in global logistics

News Letter 목록

News Letter

BNX Market News【Week 31】

Page Info

Writer BNX Date25-08-04 16:36 View271Times Reply0

Content

c794d0f0126e7ded8d9c29e18158a752_1724999268_9925.png



컨운임지수 두달만에 1500선으로…7주 연속 하락

글로벌 컨테이너 운임지수가 북미와 중동 지중해 동서아프리카 등에서 떨어지면서 7주 연속 하락했다.

상하이해운거래소에 따르면 7월25일 기준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1592.59를 기록, 전주 1646.9와 비교해 3.3% 떨어졌다. 북유럽과 호주, 남아프리카를 제외한 노선에서 운임이 떨어지면서 두 달 만에 1500선으로 밀려났다. 해양진흥공사는 “관세 유예 만료 전 화주들의 관망세가 여전하다. 북미항로는 관세 관련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운임이 약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구간별 운임은 40피트 컨테이너(FEU)당 상하이발 북미 서안행이 2067달러, 동안행이 3378달러를 기록, 전주 2142달러 3612달러와 비교해 3.5% 6.5% 각각 떨어졌다. 서안과 동안 모두 2주 연속 하락세다.

또 20피트 컨테이너(TEU) 기준 상하이발 중동(두바이)행 운임은 전주 1321달러에서 12.8% 내린 1152달러, 지중해행은 2528달러에서 4.4% 하락한 2418달러, 남미 동안(산투스)은 5628달러에서 7.8% 떨어진 5188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이 밖에 동아프리카(몸바사)는 2710달러에서 4.7% 내린 2583달러, 서아프리카(라고스)는 4312달러에서 소폭 떨어진 4273달러, 동남아시아(싱가포르)는 442달러에서 2.9% 내린 429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반면, 상하이발 북유럽행 운임은 전주 2079달러에서 0.5% 오른 2090달러, 호주(멜버른)는 1042달러에서 2.8% 상승한 1071달러, 남아프리카(더반)는 2851달러에서 3.9% 인상된 2961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한국발 해상운임(KCCI)도 6주 연속 하락곡선을 그렸다.

한국해양진흥공사에 따르면 7월28일 현재 KCCI는 2199로, 전주 2285와 비교해 3.8% 떨어졌다. FEU 기준 한국발 북미 서안행 운임은 전주 2296달러에서 7.4% 하락한 2126달러, 북미 동안행은 3973달러에서 8.1% 내린 3652달러, 지중해행은 3802달러에서 6.6% 떨어진 3553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또 한국발 중동행과 남미 동안행, 남미 서안행은 전주 2624달러 6212달러 2661달러에서 0.5% 5.2% 0.6% 각각 하락한 2612달러 5888달러 2645달러였다.

이 밖에 한국-동남아시아 운임도 전주 1042달러 대비 0.7% 하락한 1035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유럽행은 전주 3410달러에서 소폭 오른 3414달러, 호주행은 1872달러에서 2.5% 상승한 1919달러, 남아프리카행은 3671달러에서 0.7% 인상된 3695달러로 집계됐다. 

<출처: 코리아쉬핑가제트 07.31.2025>



대미 수출 관세 어떻게 변하나…7일부터 15%가 기본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 협상을 극적으로 타결함에 따라 향후 한국 제품이 미국에 수출될 때 적용되는 관세율에도 변화가 따르게 된다. 1일 정부와 통상 전문가들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한 이후 도입한 관세는 크게 특정 국가의 상품 전반에 부과되는 '상호관세'와 특정한 상품을 대상으로 지정하는 품목별 관세 두 가지로 나뉜다.

상호관세는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근거로, 품목별 관세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해 작동 방식에 차이가 있다.

무역적자를 일종의 국가 비상 경제 사태로 간주해 추진되는 상호관세는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비교적 간편하게 부과할 수 있다.

반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수입을 제한하거나 고율 관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한 무역확장법 232조는 정부의 사전 조사 절차를 거쳐야 해 상대적으로 발동 조건이 까다로운 편이다.

이번 무역 협상 타결로 한국 대상 상호관세는 오는 7일부터(현지시간) 15% 세율로 적용된다. 당초 예고된 25%보다는 10%포인트 낮춘 것으로 이는 유럽연합(EU), 일본 등 주요 경쟁국들과 같은 조건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상호관세를 도입했다가 유예했지만 그중 10%를 '기본관세'라는 이름으로 모든 교역 상대국에 부과 중이다. 따라서 이번 한미 합의 타결로 한국 수출품에는 현재보다 5%포인트 오른 15%가 상호관세로 적용된다.

상호관세 적용 대상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관세가 부과되고 있거나 부과가 예고돼 정부 차원의 조사가 진행 중인 제품을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 상품이다. 현재 미국은 이미 자동차와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각각 25%, 50%의 품목 관세를 부과 중이다.

아울러 트럼프 정부가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조사를 진행 중인 반도체와 의약품의 품목별 관세는 아직 결정되지 않아 당분간 현행 0% 또는 저율 관세로 교역이 이뤄지게 된다. 미국 정부의 반도체 관세 조사 대상에는 반도체 자체와 스마트폰 등 IT 제품군도 포함된다.

그간 반도체는 1997년 세계무역기구(WTO)의 정보기술협정(ITA)에 따라 회원국 간 무관세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에 미국과의 교역에서도 0% 관세가 적용됐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조만간 반도체와 의약품 품목 관세 부과를 시행하겠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자동차처럼 일정한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다.

자동차의 경우 한미는 이번 협상 타결로 품목 관세 중에서는 자동차 관세를 현행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합의했다. 따라서 향후 미국 정부가 지정한 날로부터 자동차 관세는 현재의 25%에서 15%로 10%포인트 낮아진다. 다만 이미 50%의 관세가 부과 중인 철강·알루미늄은 변함없이 계속 50%의 관세가 부과된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한국의 연간 대미수출액이 1천억 달러에서 1천500억 달러 정도인데 종합적으로 가산되는 관세율이 15%라고 치면 대략 연간 150억 달러 정도를 관세로 추가 납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무역 협정 타결로 기존에 체결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는 미국이 한국에 수출할 때만 일방적으로 적용돼 사실상 '단방향 FTA'로 남게 될 전망이다. 장 원장은 "이제 새로운 교역 관계로 들어가며 한미FTA는 일시적으로 효과가 사라져 형식적으로만 남게 됐지만 추후 트럼프 정부 이후를 생각하고, 한미 FTA가 가진 안보나 전략적 동맹 관련 가치를 고려한다면 일단은 계속 협정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밝혔다.

<출처: 연합뉴스 08.01.2025>



"美관세 부과 '선주문 효과' 끝"…아시아 대미 수출 급감 우려

미국 상호관세 부과에 대비한 산업계의 '선주문' 효과가 사라지면서 아시아의 대(對)미국 수출이 급감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4일 닛케이아시아에 따르면 하반기 이후 미국 내 수요 감소와 대미 수출 둔화 신호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도 미국이 각국에 부과하는 관세율이 확정되고 수입품 가격이 상승하면서 향후 여러 분기 동안 아시아의 대미 수출이 급격히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대미 수출 감소세가 지속될 경우 정책 당국이 국내 수요를 자극하기 위한 과감한 조처를 하지 않으면 아시아 경제가 핵심 성장 기반을 잃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경제분석기관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알렉스 홈스 아시아태평양국장은 "앞으로 몇 달 내에 선수출 효과가 완전히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에서) 관세 부과 전 쌓아둔 물량이 풀리면 하반기 아시아 수출에 매우 부정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EIU는 말레이시아의 수출은 올해 상반기에 전년 대비 14% 가까이 뛰었으나 하반기에는 6%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상반기에는 20% 급감할 것으로 예측했다.

홈스 국장은 "어느 시점에 (미국에서의) 수요가 매우 빠른 속도로 감소할 수 있다"며 "내년 초에는 일부 국가 수출이 20∼30% 줄어들어도 놀랍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무라증권도 올해 하반기 아시아의 수출 감소율이 두 자릿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선주문 물량으로 인한 수출 감소,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제품 가격 인상과 수요 둔화가 아시아 수출업체들에 타격을 가할 것으로 이들은 예상했다. 실제로 최근 미국에서는 수입 화물 운송 지체 현상이 사라지는 등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

미국 물류업체 그레이트월드로지스틱스 지미 팅 회장은 "5∼6월에는 배송해야 할 상품이 밀려있었지만 이제 해소됐다"며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전 몰렸던 주문이 줄었다고 전했다. 미국 소비자들도 관세 부과 이후 가격이 오를 것을 염두에 두고 각종 제품 구매를 서둘렀다.

전미소매협회(NFR) 조사 결과, 9월 시작하는 신학기를 앞두고 쇼핑객 67%가 이미 7월 초부터 구매에 나섰다. 작년 55%와 비교해 높아졌으며, 2018년 이 항목 조사를 시작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미국 항구 컨테이너 수입량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해운 운임 하락세도 수요 감소를 시사한다. 영국 해운컨설팅업체 드류리의 세계컨테이너지수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에서 미국 로스앤젤레스(LA)까지의 40피트 컨테이너 운송 비용은 6월 12일 5천914 달러에서 7월 31일 2천632 달러로 55% 급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56개국과 유럽연합(EU)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지난 4월 발표한 뒤 90일 유예했다. 미국은 그동안 각국과 무역 협상을 벌였고, 지난달 말부터 새롭게 조정한 관세율을 잇따라 제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무차별 관세 정책이 시행되기 전에 재고를 비축하려는 미국 수입업체들의 주문이 몰리면서 최근 수개월간 아시아 주요국의 대미 수출은 급증했다.

대만의 2분기 상품 수출이 작년 동기 대비 34% 증가했고, 이에 힘입어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8% 가까이 뛰었다. 베트남도 관세 부과 이전에 통관을 마치려는 대미 수출 물량이 늘어 2분기 GDP가 8% 가까이 성장했다. 한국은 2분기 수출이 4.2% 증가했고, GDP는 0.6% 성장했다.

<출처: 연합뉴스 08.04.2025>



K배터리, 美ESS 생산 본격화…관세 리스크 넘고 '현지화' 속도전

한미 무역 협상 타결로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국내 배터리 3사가 미국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의 대중국 고관세 정책에 ESS 산업 보조금 지원이 맞물리며 현지 생산 거점을 확보한 국내 기업의 전략 수립이 빨라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미국 내 수입되는 중국산 ESS 배터리에는 기본 관세와 상호 관세, 펜타닐 관련 보복관세 등을 포함해 총 40.9%의 관세가 적용되고 있으며, 내년에는 58.4%까지 오를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2분기 일시적으로 150%대에 육박했던 관세는 미중 관계가 소강 국면에 접어들며 다소 완화됐지만, 여전히 주요국 대비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산 배터리의 미국 내 입지를 좁히고 있다. 미국 무역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중국산 리튬이온 배터리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0% 감소했다. 내년 1월부터는 통상법 301조에 따른 7.5% 관세가 25%까지 상향될 예정이어서 향후 중국산 배터리의 가격 경쟁력은 더욱 떨어질 전망이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내 해외우려기관(FEOC) 규정은 중국산 배터리·소재 기업의 북미 진입을 사실상 불가하게 하며, 이로 인해 현지 공장을 보유한 기업이 미국 내 구조적 우위를 확보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도 ESS 시장 성장의 촉매가 되고 있다. 이 조항은 2035년까지 착공되는 ESS 프로젝트에 대해 투자세액공제(ITC)를 제공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현지 생산이 가능한 기업에 혜택이 돌아갈 전망이다.

실제로 국내 배터리 업계의 ESS 현지 프로젝트 기회는 늘어나는 모습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5조9천442억원 규모의 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했는데, 업계에선 이번 계약이 테슬라의 ESS 생산에 활용될 것으로 본다.

테슬라는 지난 1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관세 등에 따라 중국이 아닌 미국 내 기업으로 LFP 배터리 공급처를 찾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국내 배터리 기업 중 미국 내 가장 많은 생산 기지를 갖고 있으며, 가장 먼저 ESS 생산 거점을 마련했다. 회사는 올해 말까지 17GWh(기가와트시), 내년 말까지 30GWh 이상의 현지 생산능력(캐파)을 구축할 계획이다. 단독 공장은 물론 합작법인(JV)도 활용해 전기차 캐파를 ESS 공급에 먼저 활용하는 등 설비 효율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삼성SDI는 오는 10월부터 인디애나주에 있는 스텔란티스와의 합작법인 SPE(스타플러스 에너지)의 일부 라인을 ESS 셀 생산에 활용할 예정이다.

그간 삼성SDI는 울산공장에서 삼원계(NCA) ESS를 생산해 미국에 수출해 왔으며, 삼성SDI의 ESS 미국향 매출 비중은 70% 이상이다. 삼성SDI는 최근 2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내년에는 ESS용 LFP 배터리도 현지에서 양산할 예정"이라며 "일부 자재는 미국 외의 지역으로부터 수입이 필요해 관세 영향을 받겠지만,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보조금을 통해 그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SK온 역시 현지 생산을 계획하고 있다. 이석희 SK온 사장은 최근 SK이노베이션 기업가치 제고 전략 설명회에서 "현재 여러 고객사와 수주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미국에 라인 배정까지 완료한 상태"라며 "연내 수주 성과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한 투자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며 "중국을 대체할 수 있는 생산 역량과 현지화 전략이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연합뉴스 08.04.2025>



트럼프, “디미니미스 제도 전면 폐지 모든 국가로” … 행정명령, 8월 29일부터 모든 소액물품 관세 부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디미니미스(소액면세) 제도의 2027년 폐지를 기다리지 않고, 오는 8월 29일부터 전면 중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800달러 이하의 모든 해외 직구 상품에 대해 관세와 세금이 부과되며, 간소화된 통관 혜택도 사라진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부과 중인 관세 회피를 막기 위해 디미니미스 제도를 중단할 필요가 있다”며 이번 조치의 배경을 설명했다고 현지 매체들이 전했다.

미국은 올해 초 중국과 홍콩발 저가 상품에 한해 디미니미스 적용을 제외한 데 이어, 이번에는 이를 모든 국가로 확대한 것이다.

전자상거래 직격탄…글로벌 특송·항공 물류도 영향 불가피

디미니미스 제도 폐지는 해외에서 저렴한 상품을 소싱해 미국 내 소비자에게 직접 배송하던 소규모 온라인 판매자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타격을 줄 전망이다. 특히 Temu, Shein 등 중국 기반 플랫폼과 함께, 이들 플랫폼의 물량을 처리하던 국제 특송업체, 항공화물 운송사 등도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디미니미스는 본래 미국 세관국경보호청(CBP)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소액 물품에 대해 간소한 통관 절차와 무관세를 허용했다. 그러나 중국발 전자상거래 물량이 폭증하면서 악용 사례가 늘었고, CBP는 하루 400만 건에 달하는 소액 물품의 밀반입·불법 거래 모니터링에 한계를 드러냈다.

이번 조치로 인해 미국 수입자는 앞으로 물품 가치와 상관없이 모든 상품에 대해 관세 및 세금을 납부해야 하며, 정식 세관 신고서도 작성해야 한다. 특히 개인 소비자가 복잡한 절차나 추가 비용을 감당하지 못할 경우,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가 서명한 ‘One Big Beautiful Bill’에는 2027년 7월 1일 디미니미스 공식 폐지를 명시한 조항이 포함됐지만, 그는 이를 2년 이상 앞당겨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트럼프는 또한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을 발동해 캐나다·멕시코·중국발 펜타닐 밀수를 ‘국가 비상사태’로 선언하며 디미니미스 전면 폐지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다만, 미국 상무부가 CBP의 소액물품 관세 징수 시스템 구축 완료 여부를 판단할 때까지는 일시적으로 시행을 유예했으며, 현재는 해당 시스템이 갖춰졌다고 판단해 행정명령을 발효했다. 특히 USPS(미국 우정청)가 자체적으로 CBP 시스템을 통해 통관 처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항공사 및 운송사업자에게 세금 징수와 납부 의무가 부여된다.

한편 디미니미스 제도의 조기 폐지는 미국 내 반중 정서를 기반으로 한 보호무역주의 강화의 신호탄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항공 특송 중심의 글로벌 전자상거래 공급망이 근본적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아, 물류기업과 항공사들은 이에 대응한 새로운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출처: 카고프레스 07.31.20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